ABOUT
DR사업의 모든것,
그 중심에 iDRS가
있습니다.
COMPANY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안정성으로 수요관리를 선도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창조합니다.
NEWS
iDRS는 에너지 데이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에너지 효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KPX실적공개
2024년 9월 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정보
1. 일반현황('24년 9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총 의무감축량 : 4,555.232MW(초기 시장 등록 대비 0.578MW 증가) 나) 참여고객 수 : 4,739개소(초기 시장 등록 대비 168개소 증가) 다) 수요자원 수 : 86개 자원(초기 시장 등록 대비 6개 증가) 2. 수요자원거래 정보('24년 9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신뢰성DR 실적 1) 9월 신뢰성DR 실적 : 감축요청량 5,117MWh, 감축량 5,785MWh, 이행률 113% 2) 사업자별 신뢰성DR 실적 3) 사업자별 신뢰성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 나) 자발적DR 실적 1) 해당 월 자발적DR 실적 - 입찰량 65,446(MWh), 낙찰량 18,168(MWh), 낙찰률 27.76(%), 감축량 27,843(MWh), 이행률 153.2(%) 2) 사업자별 9월 자발적DR 실적 3)사업자별 자발적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누적) ※ 사업자별 자발적DR 실적(이행률 80%미만 및 입찰제한 자원 발생)의 경우, 추후 계량데이터 정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정보 조회방법 가) 전력거래소 홈페이지(http://www.kpx.or.kr)의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전력시장-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실적" 페이지(클릭 시 이동합니다.) 나) 수요자원거래시장 홈페이지(http://dr.kmos.kr)의 "수요자원시장-고객지원-정보공개" 페이지 다) 아이디알서비스 홈페이지(http://idr-s.co.kr/)의 "게시판-전력거래소 실적공개" 페이지 4. 첨부파일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3.25
KPX실적공개
2024년 8월 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정보
1. 일반현황('24년 8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총 의무감축량 : 4,555.232MW(초기 시장 등록 대비 0.578MW 증가) 나) 참여고객 수 : 4,761개소(초기 시장 등록 대비 190개소 증가) 다) 수요자원 수 : 86개 자원(초기 시장 등록 대비 6개 증가) 2. 수요자원거래 정보('24년 8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신뢰성DR 실적 1) 8월 신뢰성DR 실적 : 감축요청량 6,174MWh, 감축량 6,181MWh, 이행률 100% 2) 사업자별 신뢰성DR 실적 3) 사업자별 신뢰성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 나) 자발적DR 실적 1) 해당 월 자발적DR 실적 - 입찰량 95,443(MWh), 낙찰량 35,384(MWh), 낙찰률 37.07(%), 감축량 51,861(MWh), 이행률 146.6(%) 2) 사업자별 8월 자발적DR 실적 3)사업자별 자발적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누적) ※ 사업자별 자발적DR 실적(이행률 80%미만 및 입찰제한 자원 발생)의 경우, 추후 계량데이터 정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정보 조회방법 가) 전력거래소 홈페이지(http://www.kpx.or.kr)의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전력시장-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실적" 페이지(클릭 시 이동합니다.) 나) 수요자원거래시장 홈페이지(http://dr.kmos.kr)의 "수요자원시장-고객지원-정보공개" 페이지 다) 아이디알서비스 홈페이지(http://idr-s.co.kr/)의 "게시판-전력거래소 실적공개" 페이지 4. 첨부파일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3.25
KPX실적공개
2024년 7월 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정보
1. 일반현황('24년 7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총 의무감축량 : 4,629.433MW(초기 시장 등록 대비 74.779MW 증가) 나) 참여고객 수 : 4,846개소(초기 시장 등록 대비 275개소 증가) 다) 수요자원 수 : 89개 자원(초기 시장 등록 대비 9개 증가) 2. 수요자원거래 정보('24년 7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신뢰성DR 실적 1) 7월 신뢰성DR 실적 : 실적 없음 2) 사업자별 신뢰성DR 실적 3) 사업자별 신뢰성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 나) 자발적DR 실적 1) 해당 월 자발적DR 실적 - 입찰량 107,147(MWh), 낙찰량 21,510(MWh), 낙찰률 20.08(%), 감축량 30,827(MWh), 이행률 143.3(%) 2) 사업자별 7월 자발적DR 실적 3) 사업자별 자발적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누적) ※ 사업자별 자발적DR 실적(이행률 80%미만 및 입찰제한 자원 발생)의 경우, 추후 계량데이터 정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정보 조회방법 가) 전력거래소 홈페이지(http://www.kpx.or.kr)의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전력시장-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실적" 페이지(클릭 시 이동합니다.) 나) 수요자원거래시장 홈페이지(http://dr.kmos.kr)의 "수요자원시장-고객지원-정보공개" 페이지 다) 아이디알서비스 홈페이지(http://idr-s.co.kr/)의 "게시판-전력거래소 실적공개" 페이지 4. 첨부파일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3.17
KPX실적공개
2024년 06월 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정보
1. 일반현황('24년 6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총 의무감축량 : 4,629.433MW(초기 시장 등록 대비 74.779MW 증가) 나) 참여고객 수 : 4,852개소(초기 시장 등록 대비 281개소 증가) 다) 수요자원 수 : 89개 자원(초기 시장 등록 대비 9개 증가) 2. 수요자원거래 정보('24년 6월 기준 시장 전체) 가) 신뢰성DR 실적 1) 6월 신뢰성DR 실적 : 감축요청량 4,683MWh, 감축량 5,086MWh, 이행률 109% 2) 사업자별 신뢰성DR 실적 3) 사업자별 신뢰성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 나) 자발적DR 실적 1) 해당 월 자발적DR 실적 - 입찰량 92,473(MWh), 낙찰량 13,516(MWh), 낙찰률 14.62(%), 감축량 19,273(MWh), 이행률 142.6(%) 2) 사업자별 6월 자발적DR 실적 3)사업자별 자발적DR 감축이행률 80%미만 횟수(누적) ※ 사업자별 자발적DR 실적(이행률 80%미만 및 입찰제한 자원 발생)의 경우, 추후 계량데이터 정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정보 조회방법 가) 전력거래소 홈페이지(http://www.kpx.or.kr)의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전력시장-수요자원거래시장 현황 및 운영실적" 페이지(클릭 시 이동합니다.) 나) 수요자원거래시장 홈페이지(http://dr.kmos.kr)의 "수요자원시장-고객지원-정보공개" 페이지 다) 아이디알서비스 홈페이지(http://idr-s.co.kr/)의 "게시판-전력거래소 실적공개" 페이지 4. 첨부파일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03.17
공지사항
총선 예약입찰 안내
2024년 4월 10일(수)은 총선으로전력시장운영규칙 [별표4] 입찰 운영 절차 12.2.2에서 규정한 휴일에 해당되어아래와 같이 예약입찰을 시행합니다.--------------------------- 아래 ----------------------------------<자발적DR>○ 입찰일 : 2024년 4월 9일(화)○ 거래일 : 2024년 4월 11일(목)<육지 플러스DR>○ 입찰일 : 2024년 4월 9일(화)○ 거래일 : 2024년 4월 10일(수), 2024년 4월 11일(목)업무에 참고하시어 혼선 없으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24.04.16
공지사항
2024년 상반기 주파수DR 정산금 단가 안내
2024년 상반기 주파수DR 정산금 단가를 안내드립니다.※적용일 : 2023년 12월 01일 ~ 2024년 6월 30일※ 2024년 하반기(2024년 7월 1일) 이후 전력거래소 공지 단가에 의거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RCP : 13.59 → 13.59 (-)- RCF : 0.8886 → 0.8886 (-)※ 1단계 초기등록 자원 기준■ 1회차 단가(원) 2,993.67 → 3,315.96 (↑322.290)■ 2회차 단가(원) 1,796.202 → 1,989.576 (↑193.374)■ 3회차 단가(원) 1,197.468 → 1,326.384 (↑128.916)※ 2단계 초기등록 자원 기준■ 1회차 단가(원) 5,987.34 → 6,631.92 (↑644.58)■ 2회차 단가(원) 2,993.67 → 3,315.96 (↑322.29)
2024.04.16
공지사항
DR-MON 팝업창 및 소리 알람 기능 안내
아이디알서비스 모니터링 사이트인 DR-MON에 팝업창 및 소리 알람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전력수요의무감축 발령 및 자발적DR 참여시 적용되는 기능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 래-1. 팝업창 알림- 전력수요의무감축 발령시 CBL 및 목표전력량 안내- 자발적DR 참여시 낙찰량 및 예상사용량 안내- 팝업창 자동 생성 후 자동 닫힘2. 소리 알람- 전력수요의무감축 발령 및 자발적DR 참여시 해당 구간 소리 알람- 소리알람 기본설정은 OFF상태로 ON 버튼 누를시 해당 기능 활성화업무에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2024.04.16
공지사항
iDRS 카카오 알림톡 서비스 시행 안내
아이디알서비스 공식 카카오 채널이 개설되었습니다.기존에 문자 수신으로 이루어지던 일부 알람 서비스가 카카오톡 발송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3월 5일(화) 부로 전환 예정이며, 전환 예정 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 전력수요 의무감축 발령안내 문자 (전력수요 의무감축, 등록시험, 감축시험, 감축신뢰성 시험 구분)◎ 자발적DR (계획감축) 예상사용량 준수 안내문자추후 자발적DR 낙찰 결과 안내 등 그외 알림서비스 역시 순차적으로 문자수신 방식에서 알림톡 방식으로 전환 예정입니다.채널 추가를 하지 않았더라도 알림톡은 수신되며, 카카오톡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MMS 문자로 수신됩니다.아울러 기존에 제공중이던 SMART DR 앱이 여러 오류를 개선하여 재배포 되었습니다.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04.16
정책 및 공고
[공고] 2024년도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지원 공고
2024년도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지원 공고“2024년도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운영지침」에 따라 동 사업의 지원 공고(아래의 공고 링크 및 첨부 참조)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c01b2801b/69211/view?mno=&pageIndex=1&rowPageC=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다 음 -1. 지원대상 :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운영지침 제5조의 지원대상사업을 추진하는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비영리법인 및 공공기관2. 지원예산 : 총 50억원(상세내용은 자료 참조)3. 지원조건 : 동일사업장당 지원한도(30억원)4. 지원비율 : 소요자금의 80%, 중견기업(60%), 대기업(40%)5. 융자절차 : 추천신청서 제출,접수 → 신청서류 검토/심사 → 추천결과 통보 → 기성발생/대출심사 → 대출 실행6. 신청방법 : www.energy.or.kr > 전자민원 > 신산업금융지원 신청7. 신청기간 : ‘24. 2. 20.(화) ~ 상시8. 문의처 : 한국에너지공단 사업 담당자 (☏ 052-920-0494)허위 사실을 제출한 경우 향후 선정 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해당 기관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02.26
정책 및 공고
[공고] 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지원 공고
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지원 공고“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라 동 사업의 지원내용을 다음과 같이 공고(아래의 공고 링크 및 첨부 참조)https://www.knrec.or.kr/biz/pds/businoti/view.do?no=4161- 다 음 -1. 지원예산 : 363,280[백만원]2. 지원대상 :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설물을 제조·생산 또는 설치하는 개인(협동조합 포함), 중소・중견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확인(RE100) 기업(대기업 포함)3. 접수대상 : 산업시설 태양광, 도심(건축, 시설) 태양광, 농어촌 지역 태양4. 융자절차 : 자료 참조5. 접수방법 : 신재생에너지센터(이하 센터) 누리집 접수6. 접수기간 : '24.03.11 ~ '24.03.18(1차), '24.05.27 ~ '24.06.03(2차), '24.09.09 ~ 예산마감시(3차)7. 문의처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콜센터(1855-3020)8. 제출서류 : 공통서류 및 신청 대상별 별도 서류 준비(상세내용 사이트 및 자료 참조)허위 사실을 제출한 경우 향후 선정 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해당 기관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사업공고
2024.02.19
정책 및 공고
[공고] 2024년도 에너지기술정책수립사업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신청
2024년도 에너지기술정책수립사업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공고중장기 R&D 계획 수립, 에너지기술 동향분석, 온실가스 감축 모델 연구 등 국가 에너지기술개발사업 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연구사업(아래의 공고 링크 및 첨부 참조)https://https://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c01b2801b/69091/view?mno=&pageIndex=5&rowPageC=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다 음 -1. 지원분야 : 정부정책 및 R&D 기획을 지원하기 위한 조사 및 전략 마련2. 지원규모 및 기간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2.2억원 / 12개월 이내3. 신청자격 :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상세내용 자료 참조)4. 지원제외 : 사이트 자료 참조5. 공고기간 : '24.01.22.(월) ~ '24.02.21(수) 18:00까지6. 문의처 : 한국에너지공단 기술정책실 (☎ 02-3469-0000)- 제출서류 -ㅇ 연구개발계획서 접수증ㅇ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ㅇ 연구개발계획서ㅇ 연구개발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ㅇ 연구개발기관의 사업자등록증ㅇ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기업부설연구서 인정서ㅇ 연구개발기관 책임자의 재직증명서ㅇ 연구개발과제참여자의 연구윤리 청렴 및 보안서약서ㅇ 그 외 관련서류 자료 참조허위 사실을 제출한 경우 향후 선정 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해당 기관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2024년도 에너지기술정책수립사업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공고
2024.02.05
정책 및 공고
[공고] 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참여기업 모집 공고
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참여기업 모집 (사전)공고『2024년도 주택지원사업 및 건물지원사업』에 참여할 참여기업의 선정에 관한 세부기준 공고.(아래의 공고 링크 및 첨부 참조)https://https://www.knrec.or.kr/biz/pds/notice/view.do?no=4061- 다 음 -1. 신청자격 : 신재생에너지원별 해당 면허를 득한 기업2. 모집분야 :1) 주택지원사업 :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2) 건물지원사업 :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집광채광, 소수력, 바이오, 폐기물, 수열에너지3. 평가진행 : 1차평가(면허여부) → 2차평가(점수평가) → 3차평가(적격심사) → 최종선정4. 접수기간: '24년 2월1일(목) ~ '24년 2월8일(목), 09:00 ~ 18:00 까지5. 접수처 : 한국에너지공단 홈페이지(http://www.energy.or.kr) ‘전자민원’ ➛ ‘신재생에너지’ ➛ ‘➂참여기업/AS전담업체 신청(주택, 건물지원)’에 접수6. 문의처 : 신․재생에너지센터 태양광사업실 (☎ 1855-3020)- 제출서류 -ㅇ 공사업.시공업 등록 및 면허 : 공사업,시공업 등록증 또는 면허증ㅇ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개인 정보처리 위탁 업무 동의서ㅇ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 보험 가입 증권ㅇ 기술인력 보유현황 : 자격증, 4대보험 증빙 문건ㅇ 시공실적 : 실적증명서ㅇ 기업신용도 : 신용평가등급확인서ㅇ 중소.중견기업 확인증ㅇ ISO 기술인증, KS인증서, 수상실적 등허위 사실을 제출한 경우 향후 선정 시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해당 기관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2024년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참여기업 모집 (사전)공고
2024.01.29
에너지뉴스
[2025] 4월 4주차
안녕하세요.아이디알서비스 입니다.2025년 4월 4주차 에너지 뉴스 모음 입니다.1. 이재명 “2040년까지 석탄발전 폐쇄 및 전기차 보급 확대”기사원문22일 기후환경 정책 발표문 게시…“기후 악당국가 오명 벗을 것”전기신문 오유진 기자 | 2025.04.222. 지난해 글로벌 풍력 설치용량 117GW...’사상 최고’기사원문GWEC 보고서 발간..."정책적 불안정성 증가 경계해야"예측가능 시장체계 보장·자유무역 위한 다자협력 필요에너지신문 권준범 기자 | 2025.04.233. [단독] 태양광·풍력 고정가격계약 기간 20년 고정 풀린다기사원문태양광·풍력 고정가격계약, 10년·15년·25년도 생길 듯일부 태양광 단축 선호, 해상풍력 PF 위해 연장 선호해“제도 개편 들어가면 생각치 못한 계약 필요할 수 있어”에너지경제 이원희 기자 | 2025.04.234. 재생에너지 늘지만 전력계통 '포화'…전력망 인프라 시급기사원문전력 수요·공급 불일치…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대안 제시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2025.04.235. 말 많던 '옥상 태양광' 강행하는 정부기사원문제로에너지빌딩 정책 추진6월부터 아파트도 기준 강화신재생으로 13% 이상 채워야"태양광 설치대신 에너지구매"업계 요구했지만 정부는 '불가'공사비 가구당 수백만원 증가매일경제 서진우 기자 | 2025.04.236. "한전 출력제어 조건부 접속제 전력망 독점지위 남용"기사원문시민단체·발전사업자단체 불공정거래로 공정위에 신고이투뉴스 이상복 기자 | 2025.04.24
2025.04.29
에너지뉴스
[2025] 4월 3주차
안녕하세요.아이디알서비스 입니다.2025년 4월 3주차 에너지 뉴스 모음 입니다.1. IEEFA “11차 전력수급계획, 절반의 진전…재생에너지 3배 확대엔 미달”기사원문COP28 약속 외면…2030년 목표 2.6배 확대에 그쳐LNG 중심 전력구조 지속…국제 신뢰도와 정책 일관성에도 의문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 2025.04.172. [오늘의 국회 에너지 입법 : 발전사업자 탄력적 전력계통 연계돼야]기사원문이철규 의원, 후발 발전사업자에 과도한 설비 이용 대가 요구도 제한박성민 의원, 특화지역내 분산에너지사업자 부족 전력 구매 범위 확대에너지플랫폼 김예나 기자 | 2025.04.163. '정체된 해상풍력, 금융‧인프라 촉진할 수 있는 제도 필요'기사원문에너지전환포럼‧풍력협회, 16일 국회서 토론회“불확실성 줄이고 투자 촉진 위한 종합 계획 나와야”PF 필수인 해상풍력, 금융‧투자 관점서 제도 다듬어야제조 기반 공급망 투자 확대해야 일자리 수혜 多전기신문 안상민 기자 | 2025.04.164. 美 ‘관세폭탄’에 화들짝, 전력인프라 업계 시장다변화 서둘러야기사원문최근 3년간 변압기 등 6개 품목, 美·EU 등 중심으로 고공성장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보호무역주의 팽배로 지속성장 ‘물음표’새 교두보 필요, 인도와 UAE·멕시코·베트남 등 대체시장 가능성전기신문 윤정일 기자 | 2025.04.165. “에너지 혁신 이끈다”…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기사원문ESS·V2G 등 3대 핵심사업 추진대규모 민간투자·일자리 창출 기대한국일보 김영현 기자 | 2025.04.166. ‘전력망특별법’ 시행령 제정 방향 논의의 장 열린다기사원문대한전기협회, 오는 24일 제40차 전력정책포럼 개최법·제도적 쟁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실질적 논의 기대에너지신문 권준범 기자 | 2025.04.17
2025.04.29
에너지뉴스
[2025] 4월 2주차
안녕하세요.아이디알서비스 입니다.2025년 4월 2주차 에너지 뉴스 모음 입니다.1. 尹 탄핵, 기후·환경정책 변화 신호탄되나...폐기·수정 가능성↑기사원문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추진했던 주요 정책들 변화 전망기후변화 대응 컨트롤타워 개편 본격 논의 전망…“추진 동력 생길 것”환경계, 기후·환경정책 개편 기대…“기후공시 의무화 등 속도 붙을 듯”전기신문 오유진 기자 | 2025.04.042. 전기·가스·철도요금 상반기 동결…공공요금 인상 '스톱'기사원문공공요금 원가 절감·경영 효율화로 물가 부담 완화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 2025.04.043. 충북,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총력기사원문7일, 분산에너지 육성 중장기 전략 보고회 열어2050년까지 전력자립률 100% 달성 로드맵 마련에너지신문 최인수 기자 | 2025.04.074. 분산특구, 전력망 이용요금 및 기후환경요금 할인기사원문근거리 전력수급 늘려 거래부담 축소, 분산편익도 추후정산산업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인센티브 지원방안’ 확정·공개이투뉴스 채덕종 기자 | 2025.04.085. 전 세계 청정에너지 발전비중 40% 돌파…태양광 성장 주도기사원문한국, 2017년 석탄발전 정점 찍은 후 가스 발전이 대체에너지신문 조대인 기자 | 2025.04.086. ESS발전사업자, 앞으로 저장전력 직접거래 가능기사원문광주 그린에너지 ESS발전 규제자유특구 실증 통해 규정 마련전기신문 윤정일 기자 | 2025.04.097. 사업관계자 400여명 몰렸다...이달 말 열리는 ESS 중앙계약시장 설명회 ‘관심 집중’기사원문비가격 요소 배점 및 지표, 화재 안정성·계통 안정화 강화일부 고려 중인 중국산 셀 사용은 사실상 불리할 듯전기신문 정재원 기자 | 2025.04.09
2025.04.29
에너지뉴스
[2025] 4월 1주차
안녕하세요.아이디알서비스 입니다.2025년 4월 1주차 에너지 뉴스 모음 입니다.1. 그리드위즈, 상장 후 첫 주총서 “해외 ESS 사업 본격화, 올해 매출 확대 기대”기사원문제12기 정기 주총서 김구환 대표, 올해 사업전망 밝혀전략적 M&A 통해 BM 확대와 수익 다변화 모색지난해 매출은 1247억원, 영업손실 43억원 기록전자신문 정재원 기자 | 2025.03.312. 한전없이 전기 사는 '전력직접구매' 허용...대형 전기 소비처 '직구' 시작기사원문전자신문 최호 기자 | 2025.03.283. [사설] 전력수요 감소로 어려움 겪는 전력망 운영기사원문이투뉴스 이재욱 기자 | 2025.03.314. 울산, 전력수요+신산업형 통합 특구 신청…“데이터센터 유치 경쟁력 높인다”기사원문산업부, 분산에너지 특구 유형 확대…5가지 모델 공모울산미포·온산 국가산단 66.1㎢ 대상지 설정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 2025.04.015. “이러다 망한다”···전기료 몸살 기업들, 직접 만든다기사원문잇단 전기료 인상에 현대제철·에쓰오일 등 자가발전소 구축 가속화2021년 자가발전 나선 고려아연, 비싸진 전기료 속 비용절감 체감대한상의 조사서도 확인···10곳 중 4곳 “새 전력조달 방식 검토 중”이뉴스투데이 노태하 기자 | 2025.04.016. 전기를 많이 만들지만, 더 비싸게 쓰는 전남기사원문전력자립률 전국 최고임에도 수도권과 같은 요금 내고 있어5개 시·도 공동 건의…'전기요금 정의' 위한 제도 개편 요구AI타임스 양준석 기자 | 2025.04.03
2025.04.29